국보 반가사유상 유물의 디테일 그대로 아파트 9층 높이의 미디어아트로 구현

인천공항 T1 국보 반가사유상 초대형 실감콘텐츠

replica
video

수행 년도

2023

클라이언트

국립중앙박물관 / 인천공항공사

전시위치

인천국제공항 T1 밀레니엄홀

iF Design Award 2023 Winner : Public Branding

한국을 대표하는 미소로 세계를 맞이하다

국립중앙박물관은 국보 제78호와 제83호인 반가사유상을 박물관을 대표하는 브랜드로 육성하고자, 전용 전시실 ‘사유의 방’을 조성하고 다양한 국내외 브랜딩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문화유산기술연구소(TRIC)는 그 일환으로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중정에 위치한 높이 27m 규모의 초대형 미디어타워에 반가사유상을 주제로 한 디지털 실감 영상을 제작해 상영하였습니다. 신라 시대를 대표하는 걸작 반가사유상을 실물보다 수십 배 확대하여 정밀하게 재현함으로써, 공항 이용객들에게 한국 문화유산의 정교한 아름다움과 대한민국 디지털헤리티지 기술의 우수성을 선보였습니다.

기획 배경

본 콘텐츠는 공항의 다국적 이용자들이 한국을 대표하는 국보와 조우하고, 반가사유상의 상징성과 철학을 감각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습니다. 영상은 사운드 없이 진행되기 때문에 시각적 메시지 전달이 핵심이었으며, 불교적 깨달음의 단계를 중심으로 스토리텔링을 구성하였습니다.

Asset A
project stills
project stills
Asset A
Asset A

HPBR 기반의 고품질 렌더링과 경량화

정밀 3D 데이터는 수십만 개의 폴리곤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데이터를 실시간 영상에 적합하도록 경량화하고, 유물의 질감과 재질감을 손실 없이 표현하기 위해 HPBR(문화유산 물리 기반 렌더링) 기술이 적용되었습니다. 이 기술을 통해 반가사유상의 고유한 광택, 재질, 표면 특성 등이 27m 초대형 스크린에서도 실제처럼 재현되었습니다.

HPBR 기반의 고품질 렌더링과 경량화

정밀 3D 데이터는 수십만 개의 폴리곤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데이터를 실시간 영상에 적합하도록 경량화하고, 유물의 질감과 재질감을 손실 없이 표현하기 위해 HPBR(문화유산 물리 기반 렌더링) 기술이 적용되었습니다. 이 기술을 통해 반가사유상의 고유한 광택, 재질, 표면 특성 등이 27m 초대형 스크린에서도 실제처럼 재현되었습니다.

Asset A
Asset A

불교 조형 철학을 담은 시각 서사

영상은 불교 철학에 따라 '고뇌 - 사유 - 미소' 세 단계로 구성됩니다. 고뇌의 단계에서는 혼돈의 액체 금속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모습으로 번뇌를 표현했습니다. 사유의 단계에서는 혼돈스러운 물질이 굳어지며 사고의 응축을 나타내고, 최초 제작 당시처럼 금이 도금된 질감으로 전환됩니다. 마지막 미소의 단계에서는 화려한 금박이 몸에서 날아가며 현재의 고풍스러운 모습으로 변화하고, 부처의 평온한 미소로 끝맺습니다. 특히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8만 개의 사리를 역동적으로 표현해 불교적 의미를 시각화했습니다.

불교 조형 철학을 담은 시각 서사

영상은 불교 철학에 따라 '고뇌 - 사유 - 미소' 세 단계로 구성됩니다. 고뇌의 단계에서는 혼돈의 액체 금속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모습으로 번뇌를 표현했습니다. 사유의 단계에서는 혼돈스러운 물질이 굳어지며 사고의 응축을 나타내고, 최초 제작 당시처럼 금이 도금된 질감으로 전환됩니다. 마지막 미소의 단계에서는 화려한 금박이 몸에서 날아가며 현재의 고풍스러운 모습으로 변화하고, 부처의 평온한 미소로 끝맺습니다. 특히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8만 개의 사리를 역동적으로 표현해 불교적 의미를 시각화했습니다.

Asset A
Asset A

정밀 3D 스캔 기반의 100% CG 제작

촬영이 불가능한 유물 전시 환경과, 작은 조각의 미세한 디테일을 대형 스크린에 확대 구현해야 하는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전 장면은 100% CG로 제작되었습니다. 실제 유물은 구조광 스캔과 포토그래메트리 기법을 통해 고정밀 3D 데이터로 디지털화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전체 장면을 시뮬레이션하였습니다.

정밀 3D 스캔 기반의 100% CG 제작

촬영이 불가능한 유물 전시 환경과, 작은 조각의 미세한 디테일을 대형 스크린에 확대 구현해야 하는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전 장면은 100% CG로 제작되었습니다. 실제 유물은 구조광 스캔과 포토그래메트리 기법을 통해 고정밀 3D 데이터로 디지털화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전체 장면을 시뮬레이션하였습니다.

정밀 3D 스캔 기반의 100% CG 제작

촬영이 불가능한 유물 전시 환경과, 작은 조각의 미세한 디테일을 대형 스크린에 확대 구현해야 하는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전 장면은 100% CG로 제작되었습니다. 실제 유물은 구조광 스캔과 포토그래메트리 기법을 통해 고정밀 3D 데이터로 디지털화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전체 장면을 시뮬레이션하였습니다.

마치며

완성된 컨텐츠는 6월 17일 인천공항 T1에서 공개되어, 국내외 많은 여행객들에게 바쁜 여행 속 새로운 문화 체험의 장을 마련했습니다. 또한 런던 사치 갤러리와 토트넘코트로드역의 도심형 몰입콘텐츠 체험공간인 아우터넷에서도 선보여지며 런던 현지 관람객들에게 신라 불교미술의 정수를 경험할 기회를 제공하였습니다. 문화유산기술연구소(TRIC)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문화유산의 디지털 전환을 넘어, 미디어아트를 통한 공공적 경험 확장이라는 새로운 지평을 제시하였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국보 반가사유상의 국내외 인지도를 높이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문화유산 콘텐츠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됩니다.

프로젝트 공유하기

메이킹 영상

대전 중구 계룡로 839
메일 contact@tric.or.kr
전화 042-222-2778

© 2025 TRIC, All Rights Reserved

대전 중구 계룡로 839
메일 contact@tric.or.kr
전화 042-222-2778

© 2025 TRIC, All Rights Reserved

대전 중구 계룡로 839
메일 contact@tric.or.kr
전화 042-222-2778

© 2025 TRI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