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사람들의 가장 경사스러운 순간들을 담은 평생도를 디지털 복원하고 미디어 병풍 하드웨어 및 콘텐츠 제작

<평생도> 미디어 병풍

experience
archiving
digital asset
video

수행 년도

2022

클라이언트

국립중앙박물관

전시위치

국립중앙박물관 / LA한국문화원

협력기관

덱스터스튜디오

Red Dot Award 2023 Winner: Digital Solutions

프로젝트 개요

문화유산기술연구소(TRIC)는 조선 시대 인생의 여덟 장면을 담은 8폭 병풍 <평생도>를 디지털로 복원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실감형 콘텐츠를 제작하였습니다. 본 콘텐츠는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전시관을 통해 국문·영문으로 공개되었으며, 웹페이지 상에서는 원본과 복원본을 비교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와 함께 <평생도>에 담긴 풍속 정보 및 학술 자료를 함께 제공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복원을 통한 회화 유산 접근성 확장

<평생도>는 돌잔치부터 회혼례까지, 조선 시대 이상적인 삶의 경로를 여덟 장면으로 표현한 병풍 회화입니다. 문화유산기술연구소는 본 프로젝트에서 원본 유물인 <모당 홍이상공 평생도>(덕수 5768)의 훼손 부위를 정밀하게 복원하고, 유사 유물인 <작자미상 평생도>(덕수 1681)를 참조하여 전체 장면의 완성도를 높였습니다. 복원 과정은 각 장면에 등장하는 복식, 기물, 공간 구조 등을 사료와 유물 기반으로 분석하여 결손부를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project stills
project stills
Asset A
Asset A
Asset A
Asset A

디지털 복원 및 콘텐츠 애셋 구축

스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복원 작업은 색 보정 외에도 결손부의 재구성과 시각적 균형 확보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었습니다. 훼손이 심해 원형 유추가 어려운 부분은 유사한 도상을 보이는 다른 폭의 장면이나, 선행 연구를 통해 확보한 <평생도> 유물의 시각적 자료를 참고하여 복원하였습니다. 각 장면에 등장하는 인물의 자세, 복식, 기물 등은 현존 유물과 사료를 참조하였으며, 원본에서 분리 추출한 선화와 안료 데이터를 조합하여 바탕천의 결을 그대로 살려 결손 영역을 채워 넣는 방식으로 복원본을 완성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주인공 평생의 하이라이트를 담은 폭별 스토리텔링 기획을 통해 덱스터스튜디오와 협업하여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였습니다.

디지털 복원 및 콘텐츠 애셋 구축

스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복원 작업은 색 보정 외에도 결손부의 재구성과 시각적 균형 확보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었습니다. 훼손이 심해 원형 유추가 어려운 부분은 유사한 도상을 보이는 다른 폭의 장면이나, 선행 연구를 통해 확보한 <평생도> 유물의 시각적 자료를 참고하여 복원하였습니다. 각 장면에 등장하는 인물의 자세, 복식, 기물 등은 현존 유물과 사료를 참조하였으며, 원본에서 분리 추출한 선화와 안료 데이터를 조합하여 바탕천의 결을 그대로 살려 결손 영역을 채워 넣는 방식으로 복원본을 완성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주인공 평생의 하이라이트를 담은 폭별 스토리텔링 기획을 통해 덱스터스튜디오와 협업하여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였습니다.

Asset A
Asset A
Asset A
Asset A

모듈형 디지털 병풍 및 경대형 키오스크 개발

완성된 콘텐츠는 온라인 전시 외에도 오프라인 전시에 활용될 수 있도록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현되었습니다. TRIC는 전통 공예 기반 디자인을 적용하여 4폭 디지털 병풍과 입식 경대형 키오스크를 개발하였으며, 해당 전시물은 유지보수와 운반이 용이한 모듈형 구조로 설계되었습니다. 병풍과 키오스크의 외형은 소목장 후보자 김영창, 배첩장 정찬정 등 전통 장인들과의 협업을 통해 제작되었으며, 경대 키오스크는 머릿장과 경대를 모티브로 한 디자인으로 구성되었습니다. 관람객은 키오스크 화면을 통해 각 폭의 장면에 담긴 정보와 디지털 복원 과정을 직접 탐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해당 콘텐츠는 국립중앙박물관 ‘사유의 방’ 앞과 실감영상 제2관 등에도 설치되었습니다.

모듈형 디지털 병풍 및 경대형 키오스크 개발

완성된 콘텐츠는 온라인 전시 외에도 오프라인 전시에 활용될 수 있도록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현되었습니다. TRIC는 전통 공예 기반 디자인을 적용하여 4폭 디지털 병풍과 입식 경대형 키오스크를 개발하였으며, 해당 전시물은 유지보수와 운반이 용이한 모듈형 구조로 설계되었습니다. 병풍과 키오스크의 외형은 소목장 후보자 김영창, 배첩장 정찬정 등 전통 장인들과의 협업을 통해 제작되었으며, 경대 키오스크는 머릿장과 경대를 모티브로 한 디자인으로 구성되었습니다. 관람객은 키오스크 화면을 통해 각 폭의 장면에 담긴 정보와 디지털 복원 과정을 직접 탐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해당 콘텐츠는 국립중앙박물관 ‘사유의 방’ 앞과 실감영상 제2관 등에도 설치되었습니다.

Asset A
Asset A
Asset A

2D 이미지 스캔 및 색역대 기반 고해상도 이미지 구축

TRIC는 초고해상도 문화유산 스캔을 위해 ‘쿼터 센서 픽셀 시프트’ 촬영 기법을 적용하였습니다. 7초간 16회에 걸쳐 촬영한 다분할 이미지들은 스티칭 기술을 통해 단일 테라픽셀급 이미지로 통합되었으며, CMS(Color Management System)를 적용하여 안료 본연의 색역대를 기준으로 색보정이 이루어졌습니다. 최종 스캔 데이터는 안료 재현율 98% 이상의 유사성을 확보하였고, 4K 이상 화질의 실감형 콘텐츠 제작과 인터랙티브 콘텐츠 설계의 기반이 되었습니다.

2D 이미지 스캔 및 색역대 기반 고해상도 이미지 구축

TRIC는 초고해상도 문화유산 스캔을 위해 ‘쿼터 센서 픽셀 시프트’ 촬영 기법을 적용하였습니다. 7초간 16회에 걸쳐 촬영한 다분할 이미지들은 스티칭 기술을 통해 단일 테라픽셀급 이미지로 통합되었으며, CMS(Color Management System)를 적용하여 안료 본연의 색역대를 기준으로 색보정이 이루어졌습니다. 최종 스캔 데이터는 안료 재현율 98% 이상의 유사성을 확보하였고, 4K 이상 화질의 실감형 콘텐츠 제작과 인터랙티브 콘텐츠 설계의 기반이 되었습니다.

2D 이미지 스캔 및 색역대 기반 고해상도 이미지 구축

TRIC는 초고해상도 문화유산 스캔을 위해 ‘쿼터 센서 픽셀 시프트’ 촬영 기법을 적용하였습니다. 7초간 16회에 걸쳐 촬영한 다분할 이미지들은 스티칭 기술을 통해 단일 테라픽셀급 이미지로 통합되었으며, CMS(Color Management System)를 적용하여 안료 본연의 색역대를 기준으로 색보정이 이루어졌습니다. 최종 스캔 데이터는 안료 재현율 98% 이상의 유사성을 확보하였고, 4K 이상 화질의 실감형 콘텐츠 제작과 인터랙티브 콘텐츠 설계의 기반이 되었습니다.

대전 중구 계룡로 839
메일 contact@tric.or.kr
전화 042-222-2778

© 2025 TRIC, All Rights Reserved

대전 중구 계룡로 839
메일 contact@tric.or.kr
전화 042-222-2778

© 2025 TRIC, All Rights Reserved

대전 중구 계룡로 839
메일 contact@tric.or.kr
전화 042-222-2778

© 2025 TRIC, All Rights Reserved